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40)
기획 잘하는 법 지금까지 역기획을 하면서 내가 잘 하고 있는지 감이 잡히지 않았다.현재 하고 있는 UX 기획 업무와 스타트업의 PM이 맡는 기획 문서가 다르기 때문이었다.회사 포트폴리오를 기획하면서, 그리고 역기획 스터디를 하면서 여러 사람의 기획 스타일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나만의 기획서의 기준이 무엇일까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기획을 잘한다, 못한다는 여러 기업의 기준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같이 일하는 팀원들이 납득할 수 있는지인 것 같다고 생각한다.일차적으로 기획서를 생각나는대로 써보고, 내가 개발자나 디자이너, 투자자, 또는 다른 팀의 기획자라고 생각하면서 다시 기획서를 들여다 본다. 그렇게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다시 기획서를 살펴보면서, 이대로 구현하면 프로덕트가 성공하겠어! 라는 확신이 들때까..
역기획 스터디 - 랜드북: 신축분석, 공사 비용 User매입한 토지에 상가건물을 신축하여 수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40대 남성[문제]설계비, 시공비, 공사 기간 등이 어떻게 산정되었는지 알 수 없고, 여러 건축사무소에서 견적을 비교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린다.결국, 합리적인 신축 계획을 세우는 데 의사결정 비용이 많이 든다. [니즈]정해진 자산 안에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축 계획을 빠르고 확실하게 세우고 싶다.1. 총 공사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빠르게 알고싶다.2. 총 설계 비용과 공사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빠르게 알고싶다. [기존 대안]1. 여러 가지 건축 사무소의 설계비를 비교해,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사무소에 계약금을 납부한다.2. 원하는 디자인이나 요구사항에 맞게 기획설계를 진행한다.3. 건축 사무소에서 의뢰한 도면으로 공사비를 검토한다..
역기획 스터디 - 배달의 민족: 홈, 배민클럽 [홈 개편 히스토리]2021년 '배민1 배달'이 생기면서 기존 '배달'과 분리하여 나란히 배치됨2023년 '배민배달' (구 배민1 배달) 내 카테고리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뎁스가 짧게 변경됨그러나 '배민 배달'과 '가게배달' 배너 크기가 달라 자사 배달 우대 형평성 논란과 함께 점주들의 반발을 샀음 결국 2024년,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요청으로 홈 화면을 개편함여기서 문제점은 배민배달이 아닌, 배민배달과 가게배달을 합친 '음식 배달' 메뉴를 만들었다는 것음식배달 내 카테고리로 들어가면 가게배달보다 배민1 배달이 상단에 정렬되어 가게배달을 보기 힘들어짐이에 대해, 배달의 민족 대표는 가게배달 노출을 추가로 보장하기 위해 '가게 배달' 탭을 추가하였다고 함 결과적으로 노출 면적은 같지만, 결국 기존에 '..
서비스 기획 - 기획 Portfolio 작성 포트폴리오란?이력이나 경력을 알아볼 수 있도록 내용을 모아놓은 실기와 관련된 경력증명[실기 경력 증명 예시]- 어느정도 범위를 이해하고 있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할 수 있다.- 실제 스토리보드 작성을 해봤다, 백오피스 기획을 해봤다, 프로토타이핑까지 할 수 있다, 기획자의 종류Web/App 기획 → 전략 기획, 마케팅 기획, 시스템(IT) 기획 기획의 역할1. 대기업, 중소기업사업계획, 전략기획, 예산 책정/관리, 정책의사결정 → 비즈니스적 마인드, 빠른 판단력, 전략적 마인드2. 웹 에이전시서비스 기획, 파견 근무, 분석/설계, 문서 작업 → 데이터 분석, 일정 준수, 문서 스킬, 커뮤니케이션 스킬3. 스타트업서비스 기획, 마케팅 기획, 테스트 → 가능한 많은 스킬 필요4. 서비스 중심 회사서비스 ..
역기획 스터디 - 직방: 전국 분양 일정 직방의 수익모델- 안심 매물: 광고 수익- 지킴 중개: 계약 성사 시 수수료- 직방 외 다른 사업: 프롭테크 투자, 쉐어하우스 우주, 홈 도어락 판매 등  1. Buisness[문제 정의]경기 침체로 부동산 거래 횟수가 줄면서, 계약 성사 횟수도 줄어 수익성이 떨어진다.특히, 광고 수익과 계약 수수료 중, 공인 중개사들로부터 받는 광고 수익은 일정하지만 계약 수수료가 크게 떨어졌다. [근거]- 직방 작년 매출 1200억원, 영업손실 378억원,- 일부 직원 대상 권고사직https://www.moneys.co.kr/article/2024051310453466685 [니즈]계약 수수료로 벌어들이는 수익을 높이고 싶다. [대안]1. 건당 수수료를 높인다2. 계약 횟수를 늘린다... [액션]직방의 주 고객 세그..
역기획 다시하기 - 당근: 동네지도 당근의 '동네지도' 기능을 Buisiness, Customer (사장님), User (기존 당근 유저) 측면에서 다시 정리해보았다. 1. Buisness[문제 정의]유저가 서비스에 더 자주 들어오지 않아 광고수익이 늘지 않는다. (= 수익성이 떨어진다.) [근거]중고거래 유저의 DAU가 떨어져 그 결과 홈 피드 내 광고 단가 수익이 타 플랫폼에 비해 00% 낮다. [니즈]광고 단가 수익성을 높이고 싶다. [대안]1. 푸시 알림 빈도를 늘려 홈 피드 접속자 수를 늘린다.2. 중고거래 자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이벤트를 추가한다.3. 자주 들어올 수 있는 새로운 User Activity를 기획한다. → ✔... [액션]자주 들어올 수 있는 새로운 User Activity를 기획한다.- 동네 커뮤니티, 소모임 ..
UX 기획자 성장일지: 첫 클라이언트 킥오프 미팅 후기 - 14 그동안 이것저것 질의하기 위해 진행하는 클라이언트 미팅은 많이 참여했지만, 이번에 처음으로 프로젝트 시작 전 전반적인 비즈니스 가치와 백엔드 작동 방식, 정책 등을 넓게 논의하는 킥오프를 위한 미팅에 참여하게 되었다. 느낀 점을 잊기 전에 빨리 기록해보고자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생성형 AI 관련 채팅 기반 서비스로, 클라이언트사는 모두 개발자였는데, 개발 PO, 총괄, 프론트엔드 팀장, 백엔드 팀장, ETL 팀장이 참여하였다. 1. 의뢰한 프로젝트의 가치를 모두 함께 합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해 사실 각자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걸 느꼈다. 한 가지 기능을 이야기하더라도 모두 개발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다르게 이해하고 있었고, 그 이유는 서비스가 뭔지 제대로 합의하지 않..
역기획 스터디 - 당근: 동네지도 당근의 '내 근처' 메뉴가 '동네지도' 메뉴로 개편되었다.이전의 '내 근처' 메뉴에선 알바, 부동산 매물, 동네 소식 등 사용자간 거래에 관한 내용이나 커뮤니티성 게시글이 주를 이루었는데, '동네지도'에선 먹거리, 미용, 건강, 교육 등 동네 업체 광고, 단골 쿠폰, 키워드 등 동네 업체에 관한 홍보성 게시글로 컨텐츠가 바뀌었다. 그리고 검색 필드 Placeholder도 "여기서 동네 업체 찾기"라고 명시하고 있다. 왜 이런 개편을 진행했을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추측해보았다. 1. 회사의 입장에서, 고객들이 앱을 더 많이, 자주 사용할 방법이 필요했고, 접근성이 좋은 메뉴로 해당 기능을 옮겼다.당근은 이웃간 신뢰를 기반으로 할 수 있는 활동의 범위를 늘려왔다. 초기에 중고거래로 시작해, 클래스,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