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0) 썸네일형 리스트형 웹 개발자를 위한 웹 보안: 1장 요약 - 웹사이트를 해킹하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에서 팀 버너스 리에 의해 만들어지면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최초의 웹 브라우저와 최초의 웹 서버를 만들어 HTML과 HTTP를 발명했다. 초기의 웹 페이지는 텍스트 전용으로, 대부분의 페이지가 정적이었고, 암호화 없이 트래픽이 전송됐다. 이후 1995년에 브렌던 아이크가 자바스크립트를 만들면서 웹 페이지는 상호작용이 가능해졌고, 보안 취약점 전체 클래스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나타나고, 구글의 크롬이 만들어지며 인터넷 표준의 성장이 가속화됐다. 이후 1933년, 리눅스 커뮤니티는 CGI를 구현해 정적 HTML로 구성된 웹사이트를 쉽게 만들어졌으며, 이후에 CGI가 펄, PHP와 .. UX 기획자 성장일지: 기획 시 고려할 점 - 13 이번에 세 번째 프로젝트가 거의 마무리되었다.이번에 스스로 기획서를 작성하면서, 대표님께서 주셨던 피드백을 복기하고자 정리해보았다. UX Flow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1. 플로우가 끝나는 시점에 진입하는 경험기획을 하면서 모든 사용자 경험을 고려할 수는 없기 때문에, 부분 부분 끊어서 플로우를 기준으로 설계한다.여기서 놓치기 쉬운 것은 플로우가 끝나는 시점에 어디로 진입하는지이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든 정보를 입력해서 회원가입이 완료가 되었다면, 어느 화면으로 떨어지는게 가장 매끄러운지 다시 고려해봐야 한다. 북스토어에서 교재를 구매했다면, 구매 완료 이후에 다시 상품 탐색으로 진입하는게 좋을지, 바로 뷰어로 진입하는게 좋을지 따져봐야 한다. 2. 역방향 플로우사용자는 서비스 내 여러 단계의 .. Finding PMF with Chilli Goal: Making a best ai friend chatting for a long time than Character.ai 1st mvp - "Chilli" Landing page for AI character creator (6.16 ~ 6.22)- Hypothesis: creators want to make their own character and get followers- Action: Making a landing page describes 2 values 1. Watch how your followers role-playing with your ai character 2. Upload contents and make new role-play everyday)- Result.. 뷰저블 컨퍼런스 후기 뷰저블 컨퍼런스를 다녀와서 B2B 제품에 대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유저 보이스를 들을 수 있어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 지금까지 회사에서 경험한 프로젝트가 많진 않지만, 뷰저블 컨퍼런스를 통해 B2B제품이 어떻게 고도화되는지 볼 수 있었다. 우선 뷰저블은 이번에 AI 리포트를 런칭했다. 이전에 보안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자동화 리포트를 개선하고 그에 맞는 키워드를 설정하는 부분 화면을 계획한 적이 있는데, 사용자의 니즈는 보고서를 만들고싶다였다. 사실 그 당시에는 회사에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를 자동적으로 받아보고싶다는 니즈가 크게 와닿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QnA 세션에서 실제 마케팅 에이전시에 계신 분이 리포트를 커스터마이징하고싶다고 이야기해주신 것을 보고 실제로 업무를 하는데 진짜 필요한 기능이구.. 이런저런 생각 [1]그동안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만 하면서 미뤄두고, 어느덧 프로젝트 2개가 끝났다.막상 만드려고 컴퓨터 앞에 앉아보니 여력이 나지 않아서 다시 누워버렸다.왜 만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안되는걸까?나의 성찰과 성장, 회고를 위해서 가볍게 글부터 쓰는게 좋을까? [2]오늘 팀원들과 이야기를 하면서 내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다.디자인으로 할 수 있는게 어떤 것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가지며 작업하기보다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으로써 어떻게 해야 발전시킬 수 있을까? 그렇다면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해야할 일들 중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로 생각하는게 맞는 것 같다. 왜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를 나누는걸까? 프로덕트 개선을 위한 시발점은 유저에게서, 로그데이터에서 나온다. 일을 만드려고..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필기시험 후기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가 UX디자인, 서비스기획 직무와 관련이있을거라 생각해서 시험을 봤다. 한번 정독 후, 기출문제집을 2번정도 풀었다. 공부를 하면서 모든 내용이 학교다니면서 들었던 경영학과 관련된 내용이 많아서 재미있게 읽었다. 복기하는 겸 훑어보기 좋았다. 막상 시험을 보니 쉽다는 후기와 달리, 지엽적인 문제가 많아 까다로웠지만 생각보다 점수가 높게 나와서 뿌듯했다. 잠시 쉬면서 실기를 위한 공부를 시작해야겠다. UX 기획자 성장일지: PRD 작성법 - 12 PRD 작성 이유1. 사용자 문제 및 비즈니스 우선순위, 근거 결정- 개발 프로세스를 고려해 사용자 문제와 개발 목표를 검토, 해결방안에 대한 내용 작성- 사용자 조사 결과, 다양한 옵션, 기술적 한계, UX 고려 사항, 리소스 및 예산, 타임라인 등을 이해관계자, 의사결정권자와 공유 2. 해결 방안에 대한 세부 정보 추가- 제안된 해결 방안에 대한 세부 정보 작성( 사용자 조사 결과, 다양한 옵션, 기술적 한계, UX 고려 사항, 리소스 및 예산, 타임라인 등) 3. UX 및 개발 설계 문서화- 구축할 기능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개발, UX 디자인 문서화- 피드백을 제공하고 우선순위를 다시 확인 4. PRD 업데이트, 공유 및 기능 범위 결정PRD 구성요소1. 제품 개요(요약과 배경)- 제품의 목적, .. 노트폴리오: 당근 프로덕트 디자이너 특강 QnA 화면 설계에 대해 어느정도 권한을 가져가는지?지표, 유저보이스를 기반으로 의사결정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역할은?각 그룹별 연결되는 경험을 동시에 바라보아야 함어려운 문제를 (유저가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큰 학습비용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쉽게 푸는 능력팀들이 목적 중심으로 운영하니까 각자가 맡은 지면에 매몰되기 쉬움 프로덕트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역량은?평소 좋아하는 앱이 어떻게 운영되고, 어떻게 업데이트되는지 지켜보기제품의 로드맵을 세우는 능력도 같이 성장할 수 있음 유저 데이터나 지표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닌, 평소 스스로 앱을 계속 사용해보면서 문제를 발견하고 개선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는지?유저보이스인지 내 보이스인지 헷갈릴 정도로 몰입한 후에 일을 시작함실제 사용자가 되면서..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