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18) 썸네일형 리스트형 The art of product management | Shreyas Doshi (Stripe, Twitter, Google, Yahoo) 5 Big Ideas1. Pre-mortem (사전 검사)Post-mortem (사후 검사)는 출시에 문제가 생기거나 이니셔티브가 계획대로 되지 않을 경우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사후 분석을 통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무엇을 더 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반면, Pre-mortem (사전 검사)는 일이 잘못될 때까지 기다리기 전에, 제품이나 프로젝트 초기에 팀원들과 모여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미리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사전 검사를 제대로 하면 사후 검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사전 검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은 Initiative Prompt를 활용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지금까지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6개월 후에 실패했다고 상상해보세요"로 회의를 시작하고, 각 팀원들에게 이제 거기서 .. The nature of product | Marty Cagan,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Feature Team Product TeamFeature Team로드맵을 세운다여러가지 기능을 나열하고, 우선순위를 세운다디자인, 코딩, QA를 하고 배포한다산출물(Output)을 만들어낸다Product Team우선순위가 매겨진 기능 로드맵 대신, 해결해야 할 (고객의, 또는 회사의)문제가 제공된다팀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데 권한을 부여받는다지속적인 배포와 여러 번 릴리스는 당연하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달성했을 때 축하받는다결과(Outcome)를 달성한다Valuable(PM), Usable(Design), Feasible(Engineer), Viable(PM)을 고려한다Discovery란집중해야 할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사람들이 구매할 만한 솔루션을 발견하는 것솔루션을 만드는 데 시간을 투.. 뷰저블 컨퍼런스 후기 뷰저블 컨퍼런스를 다녀와서 B2B 제품에 대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유저 보이스를 들을 수 있어 좋은 경험을 한 것 같다. 지금까지 회사에서 경험한 프로젝트가 많진 않지만, 뷰저블 컨퍼런스를 통해 B2B제품이 어떻게 고도화되는지 볼 수 있었다. 우선 뷰저블은 이번에 AI 리포트를 런칭했다. 이전에 보안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자동화 리포트를 개선하고 그에 맞는 키워드를 설정하는 부분 화면을 계획한 적이 있는데, 사용자의 니즈는 보고서를 만들고싶다였다. 사실 그 당시에는 회사에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를 자동적으로 받아보고싶다는 니즈가 크게 와닿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QnA 세션에서 실제 마케팅 에이전시에 계신 분이 리포트를 커스터마이징하고싶다고 이야기해주신 것을 보고 실제로 업무를 하는데 진짜 필요한 기능이구.. BUX (Brand based User Experience) BUX 사용자가 제품, 서비스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설계하는 것 최근에 여러 가지 사용자 경험 디자인 템플릿이 등장하며 여러 서비스들이 사용성이 유사해지고 획일화되어 새로운 개념과 연구가 필요한 시점 피터 모빌의 사용자 경험 검증 기준과 브랜드 경험 5요소를 대응하여 BUX 검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 브랜드의 경험화 브랜드 인지도가 있을 때 UX를 활용하여 인지도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증명 경험의 브랜드화 고객이 필요로 하나 생각지 못한 경험을 만들어 경험 자체를 브랜딩 브랜드의 경험화보다 고객에게 훨씬 큰 자극을 줄 수 있음 출처 BUX(Brand Based User Experience)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특징적 UX 디자인 언어를 중심으로 https:/.. What is Hypothesis? 포트폴리오 주제를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하면서 가설을 너무 쉽게 세운다는 느낌이 들었다 가설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떤 가설이 좋은 가설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이란? 가정을 반증 가능하고 구체적인 형태로 만든 것 가정이란? 고객, 시장, 문제, 솔루션 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추측 우리 잠재 고객은 OOO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OOO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고객이 OOO로 전환하지 않고 이탈하는 이유는 OOO일 것이다 좋은 가설의 조건 1. 변수에 대한 "변화"와 성공의 척도인 "결과"를 포함한다 2. '내가 원하는 것'을 판단하기보다 '맞았는지 틀렸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3. 숫자로 치환가능할 정도로 구체적이어야 한다 4. KPI로 측정가능해야 한다 5. 변수를 반복할 수.. Roof deck - Out of sight, out of mind The truth is, no roof deck, no matter how lovely or well-appointed, will get as much usage as an equivalent patio or yard. 이 글의 주요 요지는 옥상 데크(roof deck)가 지상에 있는 정원(yard)보다 뷰가 좋고 멋있지만, 지상 정원이 접근성도 좋고 집에 들어가서 매일 마주하고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더 좋은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의 햄버거 메뉴도 roof deck와 같다고 볼 수 있다 페이스북의 여러가지 기능을 한 곳에 모아 정리해서 그럴 듯해 보이지만, 실제로 사용자가 "나는 News Feed를 봐야하니까 메뉴를 눌러서 봐야겠다"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야에서 멀.. Affordance란 UXUI분야에서 사용하는 '어포던스(Affordance)'란 도널드 노먼이 HCI분야에서 사용한 용어이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제임스 깁슨의 정의와는 다르다 제임스 깁슨의 어포던스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어포던스는 환경에 내재된 속성이 아닌, 행위자와 환경 사이의 관계이다 → 의자와 사람사이에는 "앉을 수 있다"는 어포던스가 존재하지만, 그 대상이 어른인지 아이인지에 따라 "앉을 수 있다"는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행위자가 어포던스를 지각하건 지각하지 않건 원하건 원하지 않건, 어포던스는 존재한다 → 행위자가 의자에 앉을 수 있다는 것을 지각하지 못하더라도 행위자와 의자 사이에는 "앉을 수 있다"는 어포던스가 항상 존재한다 도널드 노먼의 어포던스는 이와 달리 사물의 실질적인 속성이다 깁.. Problem Statement 정의하기 문제를 잘 정의하면 유저의 니즈와 리서치, 목표설정과 프로젝트의 한계 등을 모두 이해할 수 있다. 문제란 유저의 페인포인트 또는 해결해야 할 상황에서부터 시작된다. 누가 문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여러가지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 문제인가? 어디서 문제가 발생하는가? 언제 문제가 발생하는가? 왜 문제가 발생하는가? 왜 그 문제가 중요한가? 요가 앱의 사용자들이 불만을 느끼고 있다 > 이탈률이 증가하고 있다 > 타겟 유저들은 수업 동안 좋은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듣고싶어하는데 이 앱에선 그럴 수 없다 > 플레이리스트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다른 앱을 찾아보게 된다 > 어떻게 하면 새로운/기존의 유저들을 위해 앱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을까? https://www.coursera.org/articles/wha..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