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8) 썸네일형 리스트형 질문 잘 하기 - HMW (How might we) HMW란 무엇일까? HMW는 어떻게 제대로 쓸 수 있을까? 레퍼런스 분석을 하다 HMW에 대해 내가 잘 사용하고 있는지 의심이 들었다. UX에서는 문제가 무엇인지 중요한데, 질문조차 제대로 하지 않으면 문제를 제대로 볼 수 없다. 그래서 닐슨 노먼 그룹에서 소개하는 HMW의 5가지 팁을 정리해보았다. To prevent individuals from suggesting their pet solutions, which might have little resemblance to the problems found, construct How might we questions that frame the problem(s) for ideation. 우선 HMW란 문제와 관련없이 솔루션을 바로 제시하는 것을 방지하기.. UIUX 스터디 2주차 학습일지 02 - UX 리서치 방법론 - 5 ux분야와 마케팅 분야에서 퍼소나 차이 ux분야의 경우 제품과 관련된 사용자의 행동이 드러나도록 제작, 마케팅에서는 제품의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춤 퍼소나를 만들기 위해선 어떤걸 생각해야할까 우리는 어떤걸 위해 퍼소나를 만들어야 할까 (목표) 무엇을 어떻게 해결하고자 하는가 (문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무엇이 필요한지 (명확한 요구사항) 퍼소나를 위한 비즈니스 가정 우리 고객들은 ()하려는 니즈가 있다. 상품을 빠르게 구매하려는 이러한 니즈는 ()으로 해결될 수 있다. 로켓배송으로 우리의 초기고객은 ()이다. 일 것이다. 기존에 로켓배송을 사용해보지 않았던 사람들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에서 얻어내려는 가장 큰 가치는 ()이다. 빠른 배송 고객들은 부가적인 이득으로 () 또한 얻을 수 있다. 저렴한 제품,.. UIUX 스터디 2주차 학습일지 01 : UX 리서치 프로세스 - 4 UX리서처는 무슨 일을 할까? - 회사와 속한 조직 구조(인하우스 에이전시), 어떤 프로젝트, 어떤 도메인이냐에 따라 역할이 달라짐 - 방법론은 너무 많고 다양하기때문 - 따라서 리서처가 되고싶다면 본인이 가고싶은 일에 필요한 리서치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좋음 ex) 무신사: 사용성 테스트(UI), 심층 인터뷰(IDI), 설문을 중심으로 리서치 수행 / 별도의 프로젝트는 선행 리서치도 수행 UX 리서처의 목표 고객이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 UX 리서처의 임무 1. 정성적 방법론과 내부 정량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 행동 파악 2.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 해결이나 개선에 도움될 인사이트 도출 >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거지?라는 결과가 나오면 안 됨 >.. UIUX 케이스스터디 가이드 UIUX 디자이너가 되고싶어서 이것저것 찾아봤는데, 대부분 포트폴리오를 만들라고 했다.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만드는지 찾아봤더니, 진짜 '어떻게' 만드는지에 대한 '팁'이 굉장히 많았다.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해라, 너만의 철학을 담아라, 복잡한 문제를 간결하게 만들어라, 등등 ...) 그런데 '무엇'을 넣어야할지에 대한 감이 없었다. 정작 '무슨 내용'이 들어가야 할지는 아무도 자세하게 알려주지 않았다.. 여기저기 정보를 찾아본 결과, 내가 "새로 설계한 서비스"나 "기존 서비스를 재해석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 것 같았다. 나는 우선 UIUX에 대해 아는게 없기 때문에 새로 서비스를 디자인할 역량이 부족하다고 느꼈고, 최대한 케이스스터디를 많이 참고하고 이것부터 제대로 해보자고 생각했다. 케이스스.. 레퍼런스 분석 1주차 - EBS 반디 처음 레퍼런스 분석을 어떤 대상을 할까 고민하다 내가 카카오톡 다음으로 많이 이용하는 EBS 반디 어플을 분석해보기로 했다. EBS 반디를 처음 접하게 된 건 예전에 다니던 사설 영어학원의 마지막 수업에서였다. 나는 학원 선생님께 "어떻게 해야 영어를 매일 의식하면서 공부할 수 있을까요?"라고 물었고, 선생님께선 본인이 매일 아침 이 어플로 영어를 들으면서 하루를 시작한다고 하며 반디를 강력 추천하셨다. 그때부터 나는 매일같이 EBS 반디 어플을 사용하게 되었다. ㅡ 레퍼런스 분석을 위해 샅샅히 살펴보니 UIUX적으로 고칠 점이 굉장히 많았다. 그러나 사실 단순히 영어를 듣는 목적에 관해서라면 사용성이 굉장히 뛰어난 어플이라고 본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직관적인 라디오 기능 EBS 반디의 메인.. UIUX 스터디 1주차 학습일지 03 : UX 디자인 구현 - 3 프로토타입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가시적인 제품을 미리 만들어보는 것 빨리 만들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은 환경에 따라 Visual Fidelity, Functional Fidelity 두 가지 축에 의해 종류 결정 Lo-fi prototype의 장점 상상을 바로 현실로 구현가능 누구나 만들 수 있음 가볍게 수정할 수 있음 Hi-fi prototype의 장점 인터랙션 관점에서 검증할 수 있 디자인의 의도와 맞게 프론트엔드 개발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음 소스코드상의 오류가 없는지 확인 가능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대부분의 옵션들이 구현되었기 때문에 엣지케이스를 찾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증할 수 있음 프로토타입 툴 손그림, 파워포인트, 발사믹(Balsamiq), 인비전(inV.. UIUX 스터디 1주차 학습일지 02 : UX 디자인 고려사항 - 2 퍼소나 User / Buyer / User&Buyer 비교 니즈가 중복되지 않게 기술 퍼소나를 통해 신뢰도 높은 가설 설정 가능 컨셉디자인 디자인 컨셉은 내 설명이 상대방의 상상과 다를 수 있으므로 정확한 표현, 문구, 시각적 자료를 이용 현실성은 떨어지지만 나아고자 하는 방향성을 극대화해서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시장에 내놓아서 가벼운 사용자 테스트, 반응 파악 UX 디자인 컨셉 Context situation + Back end, Front end, Technical review + Key feature + User benefit 무엇을 만들것인가 + 어떻게 만들것인가 + 왜 만들어야 하는가 + 정보구조 + 컨셉 디자인 정보구조 1. Broad structure entry .. Logical Thinking - 테루야 하나코 한때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관심이 많을 때 읽었던 책이었는데 다시 읽어보니 좋은 내용이 많았다. 책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포트폴리오를 만들때나 직장을 다니게 될 때 두고두고 읽어봐야겠다. Point 비즈니스상의 커뮤니케이션이란 상대방이 듣고 싶어하는 과제에 맞춰서 기대하는 반응을 고르고, 그에 맞는 답변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대하는 반응이란 상대가 제시한 과제에 대한 단순한 이해나 피드백, 구체적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답변은 결론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근거(사실, 판단)와 결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액션) 두 가지로 나뉜다. 근거의 경우 사실과 판단을 구분하여 설명해야 한다. 방법의 경우 보편적인 공리를 제시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답변을 준비해야 한다. 논리적으로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청자에게 불.. 이전 1 ··· 14 15 16 17 18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