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og_UIUX School

UIUX 스터디 2주차 학습일지 03 : 왜 UX 디자이너가 되고싶은가 - 6

728x90

아티클 1

UX 커리어 시작하기: 사용자 경험 디자인 직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완벽한 가이드

 

개인적으로, 필자는 UX가 제공하는 다양함이 매우 즐겁다. 스스로 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디자인적인 도전들과 일의 범위들이 좋다. 시각적, 기술적 그리고 대인관계적인 능력을 적용할 수 있는 이 직업은 스스로 매우 보람차게 느껴졌다. 그리고 일을 통해 나오는 웹사이트, 모바일앱, 인터페이스와 같은 결과물들이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힘을 부여하고 가치를 부여한다는 점은 금상첨화로 다가온다.

 

아티클을 읽고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이다.

만약 내가 미래에 UX 커리어를 갖게된다면 필자처럼 느낄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되는 문구였다.

대학시절 UX에 관련하여 스터디해보고 발로 뛰며 느꼈던 감정이랑 비슷했다.

만약 미래에 일을 하는 도중에도 저런 생각이 든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필자를 닮고싶다. 나도 저런 감정을 느끼며 일하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Q. '왜' UX디자이너가 되고싶은가?

 

내가 UX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이유는 '세상에 대한 문제를 찾는것이 재미있기 때문'이다.

 

원래 내가 좋아했던 것은 디자인과 스토리였다.

사람들의 경험을 듣는 것을 좋아했고, 보기 좋은 디자인을 좋아했다.

그런데 어떠한 계기로 디자인과 스토리가 어떤 사람에게 진정 도움이 될 때 의미가 있다 생각하게 되었다.

 

의미가 있는 디자인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디자인이다.

스토리가 의미가 있으려면 누군가의 경험에 도움이 닿아야했다.

도움이 필요한 곳을 찾아내는 방법은 문제를 찾는 것이었다.

내가 문제를 제기할 때마다 좋은 디자인과 좋은 스토리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UX디자이너가 되고싶었다.

 

Q. 자신이 가진 '소프트 스킬'을 분석하라

 

나의 소프트스킬 자기평가

 

스케치 스킬(4), 스토리텔링 스킬(6), 분석 비판 스킬(9), 발표 스킬(6), 조력 스킬(8)

 

나의 가장 큰 장점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듣는다는 것이다.

학부시절에 기말발표 때, 다른 친구들의 디자인 결과물 설명을 듣는 활동이 가장 재미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속으로 비판(?)을 많이 했다. 친구 자체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 내용 자체에 대해 질문을 많이 했다.

"저 친구는 왜 저런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다른 대안은 없었을까?" 등등...

그리고 경영학 관련 수업 시간에도 다른 사람들의 팀발표를 보고 질문을 가장 열심히 했던 것 같다.

"저도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발견하신 것 같아요! 어떤 계기로 발견하셨나요?"

"제안하신 방법에 대해 관련된 이론적 배경이 있나요?"

 

또한 나는 조력을 잘하는 것 같다.

협업을 하는 상황이 생길 때, 상대방의 말에 동의한다면 전력을 다해 시간을 들인다.

 

그렇지만 스케치 능력과 스토리텔링 스킬은 부족한 것 같다.

손으로 그리고 표현하는 데 어색하다. 컴퓨터 작업물을 더 선호한다.

하지만 회의를 하는 상황에서는 손으로 그리는 게 더 빠르다고 생각한다.

스토리텔링 능력도 부족하다 본다.

내가 내 생각을 정리하는 것과 남들에게 각인이 쉽게 전달하는 부분은 항상 어렵다.

 

 

아티클 2

디자인 시스템이란?

 

DNA라는 방대한 설계도안에 명시된 배열과 조직간의 관계 위치에 따라 다양한 결과[고래~쥐~바나나 등등]가 나올 수 있는 것이죠. 디자인 시스템 또한 DNA라는 설계도와 유사합니다.

 

공통되고 반복되는 작은 요소들이 모이고 모여 개체가 되듯이,

최소한의 디자인 단위들이 모여 작은 컴포넌트가 되고, 작은 구성요소, 큰 구성요소로 이어지며 하나의 서비스를 만든다.

 

Q. 디자인시스템과 디자인가이드의 차이는?

디자인 시스템 안에는 시각적인 원칙을 정의하는 디자인가이드와 패턴 라이브러리,

그리고 보이지않는 원칙을 정의하는 시스템 가이드가 포함된다.

그 중 디자인가이드(=스타일 가이드)란 디자인의 기준과 요소를 정의하는 것이다.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보여줄 수 있는 시각적 가이드라인이라고 생각한다.

디자인 시스템이 회사가 되기 위해 가져야 할 DNA의 집합이라면,

디자인가이드는 각각의 회사의 차별성을 발현하는 DNA배열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Q. 디자인시스템을 통해 얻는 프로덕트 디자인의 이점은?

서비스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각적 요소가 필요하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도서관에서 책을 검색하고, 분류할 수 있듯이

디자인 요소 하나하나를 '꺼내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디자인 시스템을 통해 얻는 프로덕트 디자인의 이점이란,

디자인을 개선하려고 할때,

어떤 요소를 개선할 수 있을지 리스팅 하기 편하고, 선택하기 쉽게 만든다는 점에 있다.

 

 

https://story.pxd.co.kr/933

 

UX 커리어 시작하기: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직업을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

이 글은 매튜 매가인(Matthew Magain)과 루크 챔버스(Luke Chambers)가 2014년 4월 UX matters에 게재한 글입니다. 피엑스디에서 저자의 서면 허락을 받고 번역, 게시하였으며, 저자의 허락없이 복사하여 사용

story.pxd.co.kr

 

https://velog.io/@korean-davinci/%EB%94%94%EC%9E%90%EC%9D%B8-%EC%8B%9C%EC%8A%A4%ED%85%9C%EC%9D%B4%EB%9E%80-Part-2

 

디자인 시스템이란? ( Part 2 )

디자인 시스템이란 - 2 Part1에서는 디자인 시스템이 무엇인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Part2에서는 디자인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시다. 잠시 생물시간으로 돌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