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0) 썸네일형 리스트형 Designing Interfaces: 인터페이스 디자인 94가지 패턴 - 03. 둘러보기: 내비게이션, 사인, 길 찾기 1. 클리어 엔트리 포인트 (clear entry points)정의인터페이스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엔트리 포인트 (출입구)의 개수를 제한한다. 언제 사용하는가?태스크를 기본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디자인할 때 왜 사용하는가?- 수많은 패널, 낯선 용어, 짜증나는 광고 등 많은 정보 대신에 명확하게 무엇을 해야 할지 가이드하기 때문에 주저없이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대에 부합하는 옵션을 자신있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사용자가 즉각적인 만족을 느끼도록 한다. 2. 글로벌 내비게이션 (global navigation)정의웹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페이지에 일정 부분을 할애'하여 주요 페이지 또는 기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나 버튼으로 이루어진 고정 영역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언제 사용하는가?.. Designing Interfaces: 인터페이스 디자인 94가지 패턴 - 02. 콘텐츠 구성하기: 정보 구조와 애플리케이션 구조 1. 투 패널 셀렉터 (two-panel selector)정의인터페이스 안에 두 개의 패널을 나란히 놓는다. 첫 번째 패널에는 '선택할 수 있는' 아이템을 놓고, 다른 패널에는 '선택된' 아이템의 내용을 둔다. 언제 사용하는가?사용자들이 리스트의 전체 구조를 보는 동시에 스스로 선택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페이스로 아이템을 둘러보길 원할 때 왜 사용하는가?- 사용자의 시선이 패널 사이의 긴 거리를 이동할 필요 없이 물리적인 노력을 줄인다.- 윈도우 전체가 변하지 않고 대부분의 영역이 고정되어 있어 시각적인 인지 부담을 줄인다.- 이미 목록이 스크린 위에 떠있어 어떤 내용인지 굳이 기억해낼 필요 없이 바로 옆의 패널을 보고 기억해야 할 부담을 줄인다. 2. 캔버스 플러스 팔레트 (canvas plus pal.. Designing Interfaces: 인터페이스 디자인 94가지 패턴 - 01. 사용자들은 무엇을 하는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앞서좋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어떤 경우든지 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들이 얻고자 하는 바를 성취하도록 도와주면서 사람과 기계와의 대화를 중간에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람의 심리를 이해해야만 한다.사용자들의 동기와 의도는 무엇인가?사용자들이 쓰고 하는 단어, 아이콘, 제스처의 '어휘(vocabulary)'는 무엇인가?어떻게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들의 기대를 적절히 채울 수 있는가?사용자들과 기계는 서로가 목적한 의사소통을 어떻게 끝내는가?툴, 소프트웨어 사용의 목적정보나 주제를 찾기 위해서무엇인가를 배우기 위해서업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어떤 것을 컨트롤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무엇인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기 위해.. 인스파이어드 인스파이어드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문구는 다음과 같다. 1. 위험은 마지막보다 초기에 대응한다.뛰어난 팀은 어떤 것에 대한 구현을 결정하기 이전에 4가지 위험을 먼저 발견하고 대응한다.가치 위험(value risk): 고객이 과연 이 제품을 구매할 것인가?사용성 위험(usability risk): 사용자가 이 제품의 사용 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가?실현 가능성 위험(feasibility risk): 우리 엔지니어가 보유한 시간/역량/기술로 필요한 것들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사업 유효성 위험(business viability risk): 이 솔루션이 영업/마케팅/재무/법무 등 우리 사업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했을 때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가? 2. 제품은 순차적인 방식보다 함께 협업하며 정의되고 .. The art of product management | Shreyas Doshi (Stripe, Twitter, Google, Yahoo) 5 Big Ideas1. Pre-mortem (사전 검사)Post-mortem (사후 검사)는 출시에 문제가 생기거나 이니셔티브가 계획대로 되지 않을 경우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사후 분석을 통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무엇을 더 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반면, Pre-mortem (사전 검사)는 일이 잘못될 때까지 기다리기 전에, 제품이나 프로젝트 초기에 팀원들과 모여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미리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사전 검사를 제대로 하면 사후 검사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사전 검사를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방법은 Initiative Prompt를 활용하는 것이다예를 들어, "지금까지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6개월 후에 실패했다고 상상해보세요"로 회의를 시작하고, 각 팀원들에게 이제 거기서 .. The nature of product | Marty Cagan,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Feature Team Product TeamFeature Team로드맵을 세운다여러가지 기능을 나열하고, 우선순위를 세운다디자인, 코딩, QA를 하고 배포한다산출물(Output)을 만들어낸다Product Team우선순위가 매겨진 기능 로드맵 대신, 해결해야 할 (고객의, 또는 회사의)문제가 제공된다팀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데 권한을 부여받는다지속적인 배포와 여러 번 릴리스는 당연하고,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를 달성했을 때 축하받는다결과(Outcome)를 달성한다Valuable(PM), Usable(Design), Feasible(Engineer), Viable(PM)을 고려한다Discovery란집중해야 할 문제점을 발견하는 것사람들이 구매할 만한 솔루션을 발견하는 것솔루션을 만드는 데 시간을 투.. 역기획 다시하기: 랜드북 - 건설 견적 랜드북은 신축 사례, 토지 건물, 매물의 견적을 AI를 이용해 자동화해주는 서비스로, 알기 힘든 부동산 정보를 보다 빠르고 신뢰성있게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신축 개발을 하려는 소규모 부동산 투자자들에게 '기획 설계'를 보다 빠르고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이 서비스의 가장 큰 가치이다.*기획 설계: 클라이언트의 최소한의 요구사항을 반영해 단기간에 도면을 그리는 것, 이를 통해 재료, 구조, 인력 등을 모두 포함한 예상 공사 비용을 대략 알 수 있음 [문제 정의](기업 입장: 랜드북 건축)- 랜드북 건축을 통해 신축 개발을 하려는 고객의 결제전환율이 낮음 (사용자 입장: 기대한 예산과 기간 내에서 매입한 토지에 신축하려는 소규모 부동산 투자자)- 건축안의 견적을 받는 데 시간이.. 역기획 스터디 - 쏘카: 공항 이동 쏘카는 해외의 카셰어링(차주가 차를 이용하지 않을 때 렌트비를 받는 것)과 다르게, 차량을 직접 매입해서 빌려주는 카셰어링을 BM으로 가지고 있다. 공항 이동에 한정된 기능을 왜 메인에서 보여주고자 했는지 분석해보았다. [문제 정의](기업 입장)- 기존의 장기 렌트(*쏘카 플랜)로 이용되는 차량 외 가동률이 낮아 비용 손실이 큼- 전체 차량(장기 렌트 + 단기 카셰어링)의 운영년수가 낮아 매각하는데 비용이 들음- 현 사용자 LTV가 낮아 전체 차량의 가동률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음* 사용자 LTV = 기간 내 구매이력이 있는 1인당 평균 구매액 x 기간 내 구매이력이 있는 1인당 평균 결제 횟수* 가동률 = 차량 이용 시간 / 차량 운영 년수 (매각 전 기간) (사용자 입장: 해외여행을 자주 가는 고객)-.. 이전 1 2 3 4 ··· 18 다음 목록 더보기